은퇴 기자회견을 하며 눈물을 흘리던 이종범 |
신은 죽었다. 수없이 인용되어온 니체의 이 경구는 적어도 지금 이 순간에는 이렇게 고쳐야 할 것 같다. 신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오는 26일 은퇴식을 치르는 기아 타이거즈 이종범에 대한 이야기다. 종범신. 타이거즈의 팬들은 그를 그렇게 불렀다. 꼭 타이거즈의 팬이 아니라 해도 오랜 시간 야구를 보아왔고 그의 활약과 부침과 부활을 모두 지켜본 야구팬들 역시 그에게 신이라는 칭호를 붙이길 마다하지 않았다. 젊은 시절 슈퍼스타였고, 나이 들어서는 팀의 정신적 리더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인 노장에게 최대한 예우를 갖춘 수식 정도일지도 모른다. 그 정도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 표현일 것이다. 하지만 그가 신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는 과정은 실제로 신화의 모티브를 연상케 한다.
야구 보는 재미를 가르쳐준 플레이어
해태 시절의 이종범은 그야말로 판타지스타였다 |
1993년 데뷔 후 일본으로 건너가기 전 1997 시즌까지 5년 동안은 그야말로 이종범의 몬스터 시즌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4할에 육박하는 타율과 역대 최다 안타와 최다 도루를 기록했던 1994년, 30홈런 64도루라는 거짓말 같은 기록을 세운 1997년 등 당시 그의 활약은 한국야구위원회에 공식으로 기록된 숫자만 보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종범의 진정한 위대함은 숫자로 설명하기 어렵다. 슈퍼스타로서의 아우라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팬들은 이종범이라는 존재를 통해 야구라는 스포츠의 재미를 새롭게 느낄 수 있었다.
지금이야 순수 마니아들이 세이버매트릭스로 경기를 분석하고, 웬만큼 야구를 봤다고 하면 외야 혹은 내야의 수비 시프트가 각 상황마다 어떻게 전술적으로 변화하는지 이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이론적 배경도 튼튼해졌지만 당시에는 OPS라는 개념도 통용되지 않던 시기였다. 때문에 야구 특유의 팽팽한 긴장감을 즐기면서도, 플레이어의 화려함은 타자의 홈런과 투수의 삼진처럼 직관적인 플레이에 한정됐다. 그리고, 이종범이 등장했다.
1997 시즌 골든글러브를 수상할 당시의 이종범. 1994년과 함께 이 때가 그의 커리어하이라 할 수 있다(사진=연합뉴스) |
1996년부터는 20홈런을 넘기며 장타에 있어서도 강한 면모를 보였지만 그는 무엇보다 야구에 있어 출루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한 루 한 루를 빼앗는 플레이가 게임의 흐름을 어떻게 지배하는지를 보여줬다. 앞서 말한 것처럼 전성기의 그는 스탯만으로도 괴물 같았지만 그가 게임을 지배하던 순간순간은 오히려 스탯에 기록되지 않는 것들이었다. 가령 그가 안타든 볼넷이든 출루를 하고 큰 폭으로 리드를 하면 투수는 견제의 압박 때문에 종종 제구가 무너졌다. 즉 꼭 도루 기록을 세우지 않더라도 그가 나가는 순간부터 상대팀 내야는 흔들렸고 덩달아 후속타의 확률도 높아졌다. 그가 당시 해태 클린업트리오에 맞먹는 장타율을 가졌으면서도 리딩 히터 역할을 한 건 그래서다. 흔히 말하는, 공격의 물꼬를 튼다는 개념을 야구팬들은 그를 통해 직관적인 차원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만약 축구의 용어를 그대로 가져와도 된다면 이종범은 프로야구 최초의 판타지스타였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든 골을 넣어 게임을 승리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 같은 축구의 판타지스타처럼, 이종범은 꼭 역전 만루 홈런 같은 기록이 아니더라도 볼넷으로 1루에만 나가면 게임을 뒤집을 수 있을 것 같은 희망(타 팀에게는 불안감)을 주는 선수였다. 절대적인 믿음을 주는 존재, 이미 그에게는 일종의 신성이 있었다.
평범해진 천재, 날개 잃은 영웅
주니치 드래곤즈에 입단한 이종범. 하지만 이것은 시련의 시작이었다(사진=연합뉴스) |
하지만 기독교 신화가 그러하듯, 신성은 부활을 통해 완성된다. 그리고 부활은 한 번의 죽음 혹은 몰락을 전제한다. 그가 일본에서 겪었던 부상과 그로 인한 몸쪽 공에 대한 트라우마를 여기서 재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일본에서의 부진 이후 2001년 한국으로 복귀해 기아에서 보여준 플레이는 만족스러웠지만 3할 타율과 20홈런, 50도루를 기록했던 2003년을 비롯해 오히려 당시의 활약은 그에 대한 폄하로 이어졌다. 영화 [아이언맨 2]에서 악당 이반 반코는 토니 스타크에게 말한다. “자신들의 신이 피를 흘린다면 사람들은 등을 돌리겠지. 바다에 피가 흐르면 상어 떼가 모이는 법”이라고.
일본에서는 도저히 부활의 기미가 없던 그가 한국에서 다시 바람의 아들로 우뚝 서자, 사람들은 그가 일본에서 보인 부진이 부상 후유증 때문이 아니라 한일 야구 수준 차이 때문이라고 쉽게 정리했다. 불행을 겪은 영웅의 서사는 그냥 우물 안 개구리 이야기로 축소됐다. 한일 야구 천재로 이치로와 비교됐던 과거는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는 이치로의 당시와 비교되며 한낱 설레발처럼 받아들여졌다. 사실 역사에서뿐 아니라 변수 투성이인 야구에서도 가정은 무의미하다. 중요한 건 결과고, 결과적으로 이종범은 일본에서 실패한 선수였다. 다만 고국 리그로 돌아오는 것만큼 중요했던 것은 시간의 경과였고, 그 치유의 시간을 통해 그가 과거의 이종범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WBC에서의 활약 전까지 그는 과거와 같은 스타로서의 아우라를 되찾지 못했다. 날개 잃은 영웅은 땅에서 뒹굴었다.
그리고 그는 ‘종범신’이 되었다
기아 타이거즈의 10번째 한국시리즈 우승. 그렇게 그는 현재진행형의 전설이 되었다(사진=연합뉴스) |
만약 기아 타이거즈의 극적인 10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이 없었더라면, 그리고 한국시리즈 1차전을 지배한 그의 스타 본능이 아니었다면, 날개 잃은 영웅이 신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할 수 있었을까. 알 수 없다. 하지만 다음의 가정에 대해서는 답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만약 그가 2005년 극심한 슬럼프를 겪을 때 야구를 그만두고 통산 타율을 비롯한 누적 스탯에서 역대급 기록을 남겼다면 신으로 불릴 수 있었을까. 답은, 아니다.
앞서 부활이라고 했지만 나이 마흔이 된 선수에게 규정 타석을 꽉 채운 3할 타율과 20홈런 같은 극적인 순간이 올 수 있는 건 아니다. 거의 다 탄 장작이 마지막 불꽃을 화려하게 사르는 모습은 화려하고 인상적인 사건이다. 하지만 다 탔다고 생각했던 장작이 작게나마 다시 불꽃을 피운다면 그건 기적이다. 두 자리 수 홈런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류현진에게서 결승 홈런을 때려낸 그를 무의미하게 타석을 지킨다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사람들은, 타이거즈의 팬조차도 타석에 들어선 그에게서 과거만큼의 절대적 믿음을 가지진 못했다. 하지만 어떤가. 안타를 치던 못 치던, 모든 부침을 겪고 40대가 되어서도 실력으로 타석에 들어서는 이종범의 모습은 그 자체로 눈앞에서 펼쳐지는 기적이었다. 뛰어났던 선수는 그렇게 위대한 선수가 됐고, 잃었던 신성은 다시금 빛났다. 영웅의 부활, 아니 신의 탄생이었다.
은퇴 기자회견에서 그는 고맙다며 절을 했다. 하지만 고마운 건 우리다 |
그래서다. 미심쩍은 구단의 통보 과정에도 불구하고 그의 은퇴에서 쓸쓸한 뒷모습이 아닌 성좌가 되어 하늘로 오른 고대의 영웅을 떠올리는 것은. ‘양신’도, ‘야신’도, ‘종범신’도 결국 구단이 제시하는 자본의 논리 앞에서 떠나고 말았지만 그들이 남긴 업적과 추억이 바래는 건 결코 아니다. 그러니 아쉬움 속에서도 우리에겐 신이 있었노라 당당하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26일, 무등 경기장에서 그가 진짜 작별을 고할 때, 그 땐 많이 울 것 같지만.
'TV속정보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수록 눈에띄는 튼살 잡는 비결은? (0) | 2012.05.25 |
---|---|
NC의 ‘에너자이저’ 박민우가 간다 (0) | 2012.05.25 |
살아나는 두산 추진력 될 것인가 (0) | 2012.05.25 |
덜덜 떤 임찬규, '물폭탄'에 담긴 사연과 의미 (0) | 2012.05.25 |
KIA, ‘앤서니 잔류-라미레즈 방출’ 첫 날부터 효과 입증? (0) | 2012.05.25 |
추락하는 독수리' 한화, 어디서부터 이렇게 꼬였나 (0) | 2012.05.25 |
라이트룸으로 간단하게 화이트 밸런스 잡는 방법 (0) | 2012.05.25 |
뱃살, 혈액이 문제? 뱃살 빼는 방법 (0) | 2012.05.24 |
KIA는 최근 4연패 사슬을 끊고 연승가도에 들어섰다. (0) | 2012.05.24 |
들고 다니는 집, 간편 이동식 주택 (0) | 201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