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맛집이야기/여행을그리다

여수엑스포 - 여수해안길

SMALL



여행일정이미지
자전거코스 타이틀 이미지

두봉교 → 백야등대(38km, 약 2시간) → 장등해수욕장(45km) → 화양면 화동리(59.4km) → 소호요트경기장 통과(68km) → 2012여수세계박람회홍보관 도착(79.3km)

백야등대 타이틀 이미지
두봉교는 순천과 여수의 경계에 놓인 작은 다리다. 이곳에서 자전거 여행을 시작하는 것은 나름 의미 있는 일이다. 여행자는 잔뜩 기대를 품고 여수의 품에 안기는 것이고, 여수는 넓은 가슴으로 여행자를 맞이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등대직원이 직접 만든 조각품 이미지백야등대 이미지
두봉교를 출발하자마자 600m 전방에 갈림길이 나온다. 오른쪽에 펼쳐진 바다에 눈길을 빼앗기다 보면 바다에 접한 오른쪽 도로로 접어들기 쉽다. 하지만 이 길은 상봉리로 들어서는 막다른 길이다. 결국 이 길로 들어서면 되돌아 나와야 하는 것이다. 그러니 바다가 유혹하더라도 과감히 직진해야 한다. 1km 지점부터 언덕이 시작된다. 양옆에는 누렇게 익어가는 논밭이 풍요롭다. 1.8km 지점이 되면 언덕이 가팔라지면서 초반부터 고전하게 된다. 자전거 기어를 가볍게 변경하고 힘보다는 페달링으로 언덕을 넘어야 한다. 잠시 보이지 않았던 바다는 4km 지점이 되면서 다시 나타난다. 그리고 이곳부터 10km 지점까지는 평지다. 땀을 식히며 바다를 즐기기에 좋은 코스다. 이후 서너 개의 언덕을 더 넘어야 한다. 바다도 보이지 않는 내륙 구간에다 숨이 턱까지 차오르지만 자전거 여행의 묘미를 한껏 즐길 수 있는 구간이다.

14.5km 지점이 되면 왕복 2차선이었던 도로가 갑자기 4차선으로 넓어진다. 그리고 곧 죽림사거리가 나온다. 이곳에서 죽림지를 끼고 우회전을 한다. 죽림지는 그리 크지 않은 호수지만 가을 억새와 갈대가 뒤섞여 제법 운치가 있다. 잠시 물 한잔을 마시며 목도 축이고 잠시 머물며 사진이라도 찍고 싶은 곳이다. 20km 지점에서 나타나는 바다는 안타깝게도 주행 방향과 반대인 좌측이다. 이후 몇 번의 갈림길을 만나지만 백야 방면 이정표만 따라가면 길을 잃을 염려는 없다. 22km 지점에 있는 언덕은 지금까지 달려온 코스 중에 가장 난코스다. 가파른 언덕에 길이도 무려 600~700m에 이른다. 그러나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는 법이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언덕을 내려가면 작은 농공단지가 나타난다. 26.5km 지점에서는 오늘의 코스 중 가장 험난한 언덕이 기다리고 있다. 경사도도 높지만 거리도 800m가 넘는다. 정상 왼쪽에는 힘든 여행자를 반겨주는 작은 쉼터가 있다. 바다 조망이 뛰어나 쉬어가기 좋다.
화동리 장등해수욕장 이미지
백야대교 이미지
32.3km 지점에서 드디어 막혔던 시야가 확 트이며 시원한 바다와 함께 멀리 백야대교가 보인다. 가슴속까지 시원하게 파고드는 바람 덕분에 지금까지 달려온 노고가 일시에 보상되는 느낌이다. 백야대교는 35km 지점이다. 육지와 백야도를 잇는 백야대교는 2000년 6월 착공하여 2005년 4월 14일 준공되었다. 주탑을 설치하지 않고 아치형 구조물에 다리 상판을 케이블로 연결했다. 부드러운 곡선미와 율동감이 뛰어난 다리이다. 다리를 건너 직진하면 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또 다른 볼거리인 백야등대와 마주친다. 1928년에 건립된 백야등대는 20초에 한 번씩 38km 떨어진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섬광을 발한다. 여수와 나로도, 거문도를 오가는 선박의 안전한 길잡이라고 할 수 있다. 등대를 기준으로 우측은 여자만 좌측은 가막만이다. 등대는 현재 무인등대로 운영되며 내부는 통제구역이다. 하지만 외곽에는 작은 공원과 벤치가 있어 휴식하기 좋고 등대 직원이 직접 만든 조각품이 설치되어 있어 친근감을 더한다. 찾는 이는 많지 않지만 고즈넉하고 평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새하얀 백야등대는 제법 이국적이기도 하다.
전남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산34-2 소재


알고가면 좋아요 이미지
장등해수욕장과 고인돌 유적 타이틀 이미지
화동리 고인돌 이미지
장등해수욕장 이미지화양면 돌장승 이미지
백야등대에서 바라보는 다도해는 여행자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어느 정도 휴식을 취했다면 아쉬움을 뒤로하고 다시 페달을 밟아야 한다. 백야등대에서 세포삼거리까지는 갔던 길을 되돌아오는 길이다. 세포삼거리에서 직진을 하면 왔던 길이고 이곳에서 좌회전하면 장등마을로 가는 길이다. 이정표에는 '장수'만 표시되어 있다.

좌회전 후 약 1.8km 정도를 달리면 장등마을이다. 출발지였던 두봉교를 기준으로 45km 지점이다. 등 뒤에는 봉화산 자락이, 앞에는 아름다운 장등해수욕장이 자리한 마을이다. 하지만 마을이 언덕 중턱에 있어 도로에서는 해수욕장이 보이지 않는다. 그냥 지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장등해수욕장은 그리 많이 알려진 곳은 아니다. 때문에 한여름에도 피서객이 많지 않아 조용하고 한적한 휴식을 원하는 여행자에게 제격이다. 500m가 넘는 백사장의 모래는 매우 곱고 부드럽다. 수심도 깊지 않아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 여행자들에게도 안전한 곳이다. 주변 갯바위에서는 낚시를 즐기는 여행자들도 눈에 띄며 맞은편에 보이는 섬들은 하화도, 상화도, 백야도, 제도, 개도 등이다.

장등마을을 지나 48.5km 지점에 이르면 자매삼거리가 나온다. 이정표에는 직진하면 순천, 좌회전하면 벌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서 잠시 갈등하게 된다. 직진하면 거리는 짧지만 바다를 볼 수 없을뿐더러 제법 가파른 산을 넘어야 하고, 좌회전하면 완만한 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는 코스지만 거리는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조금 돌아가더라도 바다도 조망할 수 있고 피로도도 낮은 길을 추천한다. 특히 이후 만나는 마을들은 매우 아기자기하고 평화로워 옛 시골 정취가 가득하다.
물론 해안도로를 선택했다고 해도 언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53.4km 지점에서 잠시 아스팔트에서 콘크리트 포장으로 바뀌며 언덕을 하나 넘어야 한다. 이후 56.4km 지점에 삼거리가 있는데, 우회전을 하면 아까 지름길과 해안도로 중에 고민했던 자매삼거리 방향이다. 그러니 이곳에서도 직진이다. 57.4km 지점에서 이름 없는 삼거리를 다시 만나게 되는데 이정표에 직진은 옥적, 우회전은 여수시청이다. 이곳에서는 우회전을 해야 한다. 직진을 해도 오늘의 목적지는 도착할 수 있겠지만 너무 돌아가는 것은 물론이고 코스도 험난하다. 우회전 후 2km 정도 달리면 화양초등학교를 지난다. 그리 크다고 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지나왔던 마을 중에는 유일하게 점심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마을을 관통하는 도로 양옆에 서 있는 돌장승도 재미있다. 몸통과 머리가 모두 사각이며 몸통은 시멘트로 만들었고 머리는 돌을 쪼아서 올렸다. 조금 더 지나면 화양고 교문 앞에 화동리 화동 고인돌군을 만나게 된다. 약 26기의 고인돌이 느티나무 아래에 흩어져 있으며 주민들의 쉼터 역할을 한다. 화동리 마을에서 점심도 먹고 고인돌이 자리한 느티나무 아래서 휴식을 취해보자.
전남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317-3 소재


고인돌 이미지
가막만 타이틀 이미지
화동리 고인돌까지 대략 60km를 달렸으니 서서히 피로가 몰려올 시점이다. 하지만 너무 오래 지체하면 오히려 긴장된 근육이 풀리면서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적당히 휴식을 취하고 다시 길을 나서야 한다.

300m 전방에서 만나는 삼거리는 백야등대로 향할 때 지났던 길이다. 이곳에서 좌회전하면 오전에 본 작은 농공 단지가 나온다. 이제부터 64.3km 지점까지는 중복 구간이다. 그리고 가장 힘겨웠던 언덕을 다시 넘어야 한다. 숨이 턱까지 차오르고 휴식을 취하며 식혔던 땀이 다시 온몸을 적신다.

64.3km 지점에 있는 갈림길은 방향 이정표만 있을 뿐 삼거리 이름은 없다. 직진은 순천, 죽림 방향이고 우회전은 여수시청, 소호요트경기장 방향이다. 이곳에서 우회전을 해야 한다. 이곳을 지나치면 중간에 합류할 수 있는 길이 없으니 지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우회전하면 길은 좁아지지만 바다를 다시 감상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소호요트경기장 이정표를 따라가면 된다. 또 하나의 언덕을 넘는 동안 바다는 시야에서 잠시 사라지지만 힘겨움 언덕을 넘으면 사라졌던 바다가 일순간 달려드는 느낌이다. 바로 이곳이 가막만이다. 여자만이 주변 섬들 때문에 아기자기한 맛이 있다면 가막만은 넓은 시야가 특징이다.

언덕을 내려가면 이제부터는 잘 정비된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날 수 있다. 멀리 해안에 멋진 요트가 떠 있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소호요트경기장이다. 그리고 그동안 함께한 시골 풍경은 사라지고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도심 구간이다.
소호요트경기장 인근 이미지
갤러리연 외부 이미지갤러리연 내부 이미지
약 2km를 더 달리면 장성삼거리다. 이미 도심 구간에 들어섰기 때문에 그동안의 삼거리와는 달리 조금 번잡하다. 이곳에서 우회전 후 700m 정도를 달리면 여천선소 입구다. 그리고 아쉽지만 아름다운 가막만과는 이곳에서 작별해야 한다. 그러니 바다 풍경에 미련이 남아 있다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다. 넓은 잔디 공원이 있어 휴식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이후 구간은 자전거로 달리기에 썩 좋은 환경은 아니다. 차량 소통이 많아 위험하니 인도에 표시된 자전거 주행선을 따라 달려야 한다. 웅천생태터널까지는 계속 오르막인 데다 도심 구간이라 탄력을 받을 수 없어 더욱 힘겹다. 하지만 터널을 지나면 도심 구간도 끝나고 시원한 내리막이다. 약 73km 지점 송현삼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 한다. 그리고 두 번째 도심 구간이 시작된다. 이후 목적지까지 도심 구간은 계속된다. 그래도 종착지가 멀지 않았으니 조금만 힘을 내자. 76km 지점에서 한 번 더 터널을 지난다. 터널을 지나 언덕을 내려가면 사거리다. 이곳에서 우회전하면 이후 갈림길마다 '박람회 홍보관' 이정표가 있으니 복잡한 도심이라 해도 길을 잃을 염려는 없다.
목적지인 2012여수세계박람회홍보관에 도착하면 자전거 속도계에는 79km가 넘게 찍혀 있을 것이다. 거리도 그리 짧은 것은 아니지만 무엇보다 많은 언덕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코스다. 그러니 자전거 여행을 많이 한 여행자라고 해도 하체가 제법 묵직할 것이다.

2012여수세계박람회홍보관은 2007년 4월에 개관했다. 홍보관 앞마당에서는 박람회 마스코트인 여니와 수니가 여행자를 반갑게 맞는다. 동그란 눈망울과 맑은 미소가 먼 거리를 달려온 피로를 잊게 만든다. 2층으로 이루어진 홍보관 내부에는 엑스포의 역사와 여수세계박람회 준비 과정이 꼼꼼히 전시되어 있다. 박람회를 유치하기 위해 쏟은 정부의 노력은 물론이고 박람회 개최에 따른 위상 확립과 지역 발전에 대해서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아름다운 여수의 해안을 자전거로 완주한 기쁨에 박람회 개최에 따른 자부심이 더해져 가슴이 뿌듯해지는 순간이다.
소요요트경기장 인근 이미지
알고가면 좋아요 이미지
찾아가는 길 이미지
평소에 자전거 여행이 생활화되어 있지 않다면 소화하기 어려운 코스다. 거리도 짧지 않지만 무엇보다 언덕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만약 거리를 축소하면서 여자만과 가막만을 모두 돌아보고 싶다면 죽림지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럴 경우 15km 정도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여수시에서 자전거 여행의 출발지점인 두봉교까지 가는 버스는 없다. 차라리 순천종합터미널에서 98번 버스를 타고 두봉교와 가까운 ‘쉼터가든’ 앞에서 하차하는 것이 편리하다. 정류장 이름은 ‘와온’이지만 시골 노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류장 이름보다 쉼터가든이 더 찾기 쉬울 수 있다. 98번 버스의 첫차는 05:50이고 막차는 21:20이며 운행 간격은 100분이다.

두봉교 → 백야등대(총 38km, 자전거 주행 시간 약 2시간 소요)
두봉교 - 14.5km - 죽림사거리 - 17.8km - 세포삼거리 - 2.7km - 백야대교 - 3km - 백야등대
백야등대 → 화동리 고인돌(총 21.4km, 자전거 주행 시간 약 1시간 10분 소요)
백야등대 - 5.7km - 세포삼거리 - 1.3km - 장등해수욕장 - 3.5km - 자매삼거리 - 10.9km - 화동리 고인돌
화동리 고인돌 → 2012여수세계박람회홍보관(총 19.9km, 도심 구간 감안 자전거 주행 시간 약 2시간 30분 소요)
화동리 고인돌 - 8.6km - 소호요트경기장 - 2.7km - 여천선소 입구 - 2.4km - 송현삼거리 - 6.2km - 2012여수세계박람회홍보관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