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일용(48) 경찰청 과학수사센터 경감은 10일 “우위안춘은 한국에서 막노동으로 번 돈 700만원을 뺏길까봐 두려워 시신을 잔인하게 훼손했다고
자백했다”고 밝혔다. 권 경감은 “지금껏 400여 명의 살인범을 수사했지만 이번처럼 잔혹한 살해 현장은 처음”이라고도 했다. 국내 프로파일러
1호인 그는 지난 7일 오후 수원 토막 살인 사건 용의자인 우위안춘(오원춘·42)과 4시간 동안 독대했다. 범행 동기를 밝히고 수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였다.우씨는 피해자 A씨(28·여)에 대해 “피해자가 운 없이 골목에 나타나 당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우씨는 어떤 사람인가.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에서 태어나 자랐다. 2007년 한국으로 오기 전까지
중국에서 벼농사·막노동을 했다. 현지에서 고리대금업자들에게 돈을 빌렸다가 갚지 못해 욕을 먹고 맞거나 무시당했다고 하더라. 그런 경험 때문에
돈에 집착하게 됐다고 한다. 한국에서 막노동을 할 때 동료들과 어울리지 않은 이유도 ‘어울리다 보면 막걸리도 한잔 사야 하는데 돈이 아까웠다’고
진술했다.”
-돈 때문에 시신을 잔인하게 훼손했다고 했는데.
“우씨는 한국에서 번 돈을 들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게
삶의 목표였다. A씨를 목 졸라 죽인 후 다른 것보다 돈을 뺏기는 게 가장 두려웠다고 했다. 그래서 시신을 최대한 많이 훼손해 증거를 없애려고
했다.”
-충동 범죄였나, 계획 살인이었나.
“술 마시고 집에서 나와 여성을 범하려는 의도는 있었다. 우발적으로
울컥해 저지른 범죄는 아니란 얘기다. 하지만 그렇다고 A씨를 해치려고 치밀하게 계획했던 것도 아니었다.”
-조사 과정에서
특징은.
“수시로 거짓말을 했다. ‘피해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으면 ‘죄송한 마음뿐’이라고 했다. 하지만 금세
‘피해자가 운 없이 골목에 나타나 당한 것’이라고 말을 바꾸는 식이다. 그래서 우씨 진술에만 의존해 수사할 수는
없다.”
-사이코패스(반사회적 인격장애) 아닌가.
“유영철·정남규·강호순 같은 전형적 사이코패스와는 다르다.
사이코패스는 증거를 없애기 위해 시신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경향이 있는데 우씨는 달랐다. 계획적으로 치밀하게 범죄를 저지른 것도 아니고, 시신을
훼손하면서 쾌감을 느끼지도 않았다. 사회에 대한 분노도 없었다. 그렇지만 연쇄살인범일 가능성도 열어 놓고 수사 중이다.”
그가 거친 곳서 여성 실종·살해 151건
경기도 수원 20대 여성 토막 살인 사건 수사에 착수한 검찰은 10일 범인 우위안춘(오원춘·42)씨의 국내 행적 추적에 나섰다. 이날 검찰은
수원중부경찰서로부터 우씨를 살인과 시체 유기 등 혐의로 넘겨받았다.
검찰은 우씨가 피해 여성을 잔혹하게 살해한 점으로 미뤄 국내
체류 기간 중 추가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열흘간 진행된 우씨에 대한 수사에서 처음부터 우씨의 입에
놀아났다. 은폐한 폐쇄회로TV(CCTV)가 공개되지 않았다면 술에 취한 우발적 살인 사건으로 묻힐 뻔했다. 검거 후 9일 동안 수사하면서 여죄의
단서조차 캐내지 못했다. 전적으로 우씨의 진술에만 의존한 수사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쇄살인의 증거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경찰대 표창원(범죄심리학) 교수는 “이번 범행의 잔혹성으로 보아 초범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크고 치밀성까지 보여 여죄가 있어도 증거를 남기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의 국내 행적은 추적이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다. 중국 네이멍구 출신인 우씨는 2007년 9월 경남 거제에 첫발을 디뎠다. 이듬해 6월까지 거제에 머물렀다. 건설현장에서 석공 일을 하다 이듬해 1월 모친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출국했다. 2008년 4월 다시 거제로 돌아와 건설현장에서 일하며 6월까지 있었다. 같은 해 6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부산과 대전, 경기 용인 등지의 건설현장을 떠돌며 생활했다. 2010년 1월부터 재중동포 친구의 권유로 제주의 한 골프장에서 5개월쯤 일했다. 이후 같은 해 9월부터는 경기도 화성과 수원, 서울 등 수도권을 오가며 공사 현장에서 일했다. 비자 문제로 총 일곱 차례 중국을 드나든 그는 지난해 5월 수원 지동으로 거처를 옮겼다.
경기 경찰의 수사력에 구멍이 뚫린 것도 우씨의 여죄 확인 가능성을 낮게 만들고 있다. 수원 20대 여성 토막 살인사건이 발생한 2일 오전 경기도 평택 포승에서도 20대 여성 납치 성폭행 사건이 발생했지만 경찰은 수원 사건처럼 112 신고를 받고도 범인을 코앞에서 놓쳤다. 경찰은 이날 오전 5시58분 범행 현장을 목격한 주민의 112 신고 접수 후 50여 명을 보내 탐문과 수색에 들어갔지만 검거에 실패했다. 경찰은 16시간 동안 범행 현장 일대 94가구 중 84가구를 탐문했지만 허탕만 쳤다.
범인은 인기척이 없고 불이 꺼졌다는 이유로 수색하지 않은 12가구 중 한 집에 있었다. 이 사이 범인은 피해 여성을 두 차례 성폭행했다. 범인은 다음 날 자정쯤 피해 여성을 집 밖으로 내보내준 뒤 달아났다가 피해 여성의 신고로 경찰에 붙잡혔다.
'일상이야기 >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수사 완전범죄도 예리하게 잡아내는 첨단과학수사의 역사 (0) | 2012.04.18 |
---|---|
사람사냥 그 인간성의 종말 밀라이 마을 학살극 (0) | 2012.04.18 |
잔인엽기,톡막살인과 그모방자들......... (0) | 2012.04.18 |
전진 소속사 장 대표, 상습 성폭행 긴급 체포 `CCTV확보` (0) | 2012.04.11 |
목사 아들 김용민, 거리낌 없이 교회 모독하다! (0) | 2012.04.11 |
엉뚱한곳 뒤질때…수원女,6시간이상 살아서… (0) | 2012.04.09 |
수원 살인사건 경찰 문책, 대상자 총 10명 (0) | 2012.04.09 |
[전국종합]처지 비관 50대男 12층 투신 등 사건-사고 잇따라 (0) | 2012.04.08 |
20대 여성 ‘산낙지 질식사’ 범인은 남자친구… 보험금 노린 살해 (0) | 2012.04.08 |
수원 납치 살인 사건과 관련, 경기지방경찰청이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국민들의 분노는 쉬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0) | 201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