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IT/IT

쓰러져가는 인터넷 거물 YAHOO, 페이스북에 반격

SMALL

최근 몇 년동안 야후는 페이스북이 인터넷 이용자들의 관심을 빼앗아 가고 온라인 광고시장 점유율을 거의 독식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이제 야후는 법정에서 반격을 시도하고 있다.

Yahoo filed a suit against Facebook, alleging that the social network got a “free ride” by violating ten Yahoo technology patents

힘을 잃어가고 있는 인터넷 거물 야휴는 월요일 페이스북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페이스북이 온라인 광고, 프라이버시 통제, 메시징 등의 기술과 관련된 특허 10건을 침해하며 “무임 승차”식 이득을 누렸다는 주장이다.

야후 신임 CEO 스캇 톰슨이 주도한 이같은 움직임은 페이스북이 1천억달러로 추정되는 IPO를 앞두고 있는 와중에 나온 것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번 기소는 양사가 야후의 주장을 해결하기 위해 사적으로 대화해왔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진 후 나온 것이기도 하다. 야후는 월요일 성명을 통해 “불행히도 페이스북과의 문제는 미해결로 남아 연방 법원에서 해결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승소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페이스북 대변인은 “오랜 사업 파트너이자 본사와의 협력 관계에서 크나큰 혜택을 입은 야후의 이번 조치는 실망스럽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후는 적절한 피해보상금, 재판, 그리고 앞으로 발생할 특허 침해에 대한 법원 분쟁 조정 명령 등을 요구했다.

일부 법률전문가들은 이번 야후 조치는 경영난과 톰슨의 새 전략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톰슨은 활용성이 남아 있는 새로운 사업 부문에서 수익을 창출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말해왔다.

Bloomberg
Scott Thompson, pictured last year before he became Yahoo’s CEO.

IPO를 앞둔 상대적으로 신생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이 부진한 기업들이 이런 소송을 제기하는 일은 흔하다”고 비영리단체 전자프런티어재단의 자원변호사는 말했다.

전 야후 제품전략책임자 타판 바트는 야후 특허권이 갖는 법적 효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페이스북이 사용하고 있는 많은 서비스제품들은 이전에 야후의 전문 분야에 속한다”고 말했다. 일례로 “맞춤형 데이터 흐름 생성 및 커뮤니티와 이용자 선호도에 따른 웹페이지 구성”을 위한 “맞춤화” 관련 특허가 있다. 바트는 “야후의 제품은 페이스북처럼 소비자들의 큰 공감을 얻지는 못했지만…이번 소송으로 야후는 자사가 먼저 이 아이디어들을 소유했었다고 주장하고 있는것”이라고 말했다.

야후측이 주장한 특허 중에는 가상 엔티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하도록 하는 방식에 관한 것도 있다. 이 특허는 2005년 신청해 2010년 취득했으며 신청서에는 이 가상 엔티티로 “이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고 나와있다.

야후와 페이스북은 인터넷 이용자와 광고주들의 관심을 사로잡기 위해 경쟁하기도 했지만 서로 협력하기도 했다. 페이스북과 경쟁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수년간 고전한 후 야후는 2010년 페이스북의 “라이크”와 “쉐어” 버튼 같은 툴을 자사 인기 뉴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사이트에 설치하기 시작했다. 야후 이용자들이 페이스북 상의 지인들과 글을 공유하기 쉽게 해 주기 위함이었다.

다른 컨텐츠제공업체들과 마찬가지로 야후도 페이스북의 거대한 이용자층을 이용해 야후 트래픽을 끌어올리려고 했다. 이같은 야후의 노력은 수천만명의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주기적으로 페이스북 상에 있는 야후 컨텐츠를 클릭함에 따라 어느 정도 결실을 보았다고 앱데이터닷컴은 밝힌다.

야후는 과거에도 IPO를 앞둔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분쟁을 해결했던 전적이 있긴 하지만 공격적으로 자사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업은 아니다. 당시 구글은 야후가 오버추어라는 회사를 인수하면서 획득한 온라인 광고 특허와 관련한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억 달러 이상 어치의 주식을 야후에 제공한 바 있다. 페이스북을 상대로 한 이번 소송 역시 오버추어 특허권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