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이야기/일상이야기

북한의 포샵질 졸라 웃김...............

SMALL

탈북자 인터넷 매체인 ‘뉴포커스’(www.newfocus.co.kr)가 22일 북한이 체제 선전 등을 위해 실제와는 다르게 손질한, 소위 ‘뽀샵질’을 한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해 화제다.


이 매체는 생전 김정일 노인네  자신의 단점을 감추기 위해 포토샵을 애용했다고 주장하며 같은 장소에서 촬영된 사진 두 장을 공개했다.

이 사진을 살펴보면 왼쪽 사진 김정일이 훨씬 나이 들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뉴포커스는 ”왼쪽이 실제 모습, 오른쪽이 포토샵 뒤 모습”이라며 ”얼핏 보면 수정했다고 생각조차 못할 정도로 정교하게 피부를 다듬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뉴포커스는 포토샵 대상이 김정일이 아닌 사진들은 그다지 정교하게 수정되지 않는 것 같다며 다른 사진들을 덧붙였다.


  •   

뉴포커스에 따르면 위 사진은 북한의 ‘선전화보집’에 나온 해수욕장 사진이다. 바다 속에서 수영하는 사람들의 모습과 형태에서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선전화보집’에 실린 또 다른 사진에서는 양의 숫자가 많아 보이게 하기 위해 덧댄 흔적이 역력하다. 이곳 저곳에서 같은 모습의 양이 부지기수로 눈에 띈다.


  •   

단빵 생산이라는 제목의 사진에서는 빵이 쌓여 있는 선반에 같은 모양과 배열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조선중앙통신에서 보도한 썰매 타는 북한 어린이들 사진에서는 뒤에 보이는 어린이들이 실제 사람이 아니라 마치 평면 인형을 세워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김일성, 김정일 노인네가  등장하지만 합성임이 확실한 사진도 있다. ‘로동신문’에 실린 이 사진에서 구두를 보면 빛의 방향과 그림자 방향이 일치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김일성이 착용한 선그라스에 반사된 물체가 있는 점을 미뤄 실제 김일성 앞에는 건축물로 추정되는 큰 물체가 있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   

조선중앙통신과 로동신문에 실렸던 이 사진은 왼쪽 상단이 컴퓨터 작업이 아닌 수작업으로 덧칠됐다. 뉴포커스는 덧칠된 부분에 얼굴 형태가 보이는 점으로 미뤄 사진 촬영 이후 숙청 당했거나, 탈북한 인물의 모습이 지워진 것으로 추측했다.

  •   

이 사진에서도 왼쪽 사진에서 도드라져 보이는 여성의 다리가 오른쪽 사진에서는 감춰진 점을 확인 할 수 있다.

  •   

뉴포커스는 남한과 서구 등지에서 북한 사람들의 왜소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진이라며 사진 한 장을 소개했다. 이어 ”북한이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미국과 남한 군인보다도 더 거구로 북한 군인 모습을 합성하는 코미디를 연출했다.”고 오른쪽 사진을 비교해  놨다.

  •   

포커스는 마지막으로 지난해 여름 대동강 수해 때 국제적으로 조작 논란을 불러 일으킨 


사진을 소개했다. 이 사진을 자세히 보면 허벅지까지 물이 차올랐는데 물 위로 드러난 주민들 바지 부분이 깔끔하고, 물결도 부자연스럽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은 조선중앙통신이 AP통신에 전송한 세계로 전파된 사진인데, AP는 회원사들에게 이 사진이 조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사진을 삭제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이 사진과 관련해 북한이 국제 사회 지원을 노리고 수해 상황을 과장했을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