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잠투정이 심한 아기들을 두신 초보맘이 한번씩은 들어보고 겪었을만한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이런 질책을 들으면
그 해결책(?) 또는 조언을 얻기 위해 인터넷을 뒤집니다.
그리고 '등짝맨'이라는 만화를 발견하고 '등에 센서가 달린 아기'에 공감을 하면서, 안고 있던 아기가 잠든거 같아 살포오~~시 내려놓으려다가 '귀신같이 알고 깨는 아기'를 원망하고, 잘 자는 거 같다가도 소르라치게 놀라며 깨버리는 아기를 보며 아기가 혹시 경기가 난건 아닌지 걱정을 하고 또한, 손 탄 아기를 만들고 있는 자신의 육아실력(?)을 한탄합니다.
근데, 사실 소위 '손 탄 아기' 또는 '등짝맨'은 신생아의 본능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신생아가 가지고 태어나는 신생아 본능(반사반응)[Infantile reflex - 우리가 쉽게 알고 있는 대표적인 신생아 본능 중 하나가 '빨기 본능'이 있음] 중에 하나인 이 반응은, 오스트리아의 어니스트 모로 박사가 발견해 내서
"모로 본능(반사반응)[Moro reflex]"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그 반응이 깜짝 놀라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서 "놀램 본능(반사반응)[startle reflex]"라고도 불립니다.
산부인과 의사와 더불어 소아과 의사가 아기의 출생을 기다려야 하는 미국에서는 신생아가 태어나자마자 기본적인 애프가 검사 시에 신생아 본능 체크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로 본능(반사반응), Moro Reflex의 발생과 소멸시기
모로
본능(반사반응)은 이미 엄마 뱃속에 있는 임신 28주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34주(임신 말기)면 그 형태가 완전해지는 본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본능은 보통 생후 3개월을 시작으로 적어도 6개월까지는 없어져야 정상인 본능입니다.
모로 본능은 언제 볼 수 있나?
이
본능은 신생아가 갑자기 큰 소음이나 떨어지는 듯한 느낌에 노출되었을 때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 본능을 테스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손 탄 아기'의 엄마라면 아주 익숙한 모습일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2508818082092298520&q=moro+reflex
이 증상이 또 아기들이 자다가 깜짝 놀라는 증상의 원인으로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 본능을 테스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손 탄 아기'의 엄마라면 아주 익숙한 모습일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2508818082092298520&q=moro+reflex
위
테스트 모습을 보시면서 이 모습은 아기를 갑작스레 눕혔을 때만 나타나야만 하는 게 아닐까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아직 육아에
관심이 없던 임신기에 본 비디오(비디오 제목은 기억안나고요. ㅡㅡ;;)에서 잠든 아기를 눕히는 장면에서도 저와 똑같은 반응을 봤었습니다. 그
장면을 기억하고 있었기에 신생아 핑키를 눕힐 때 보이는 이 깜짝 놀라는 장면을 당연시 받아 들였던 거 같습니다.
이 증상이 또 아기들이 자다가 깜짝 놀라는 증상의 원인으로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모로 본능이 정상이라고?
예. 정상입니다. 오히려 신생아 테스트를 했는데 이 증상이 없거나 양 팔/양 발 모두 일어나지 않을 때 아기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정밀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합니다.
모로 본능의 증상은?
- 깜짝 놀람(또는 놀라는 것처럼 보임??)
- 고개는 가슴쪽으로 약간 들어올리는 듯 하고 양 팔은 쫙 벌림
- 양 손바닥은 위쪽을 향하고 손가락은 약간 오므라듦
- (보통) 욺 (휴... 다행스럽다... 아까 저 위 링크된 아기는 울지 않는 거처럼 보이지만, 두번째 실험에서는 공갈젖꼭지 빠는 속도가 더 빨라지고 과격해졌음을 눈치채셨을라나...)
이 모로 본능 증상에 대해서 "엄마 나는 아직
뱃속이 그리워요"의 저자 하비 카프 박사는, 인류와 같은 직립보행 유인원류에서만 볼 수 있는 증상이며, 엄마 품으로부터 떨어지면 생존과 직결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신생아들이 엄마에게 경고를 하는 증상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손 탄 아기'라는 말은 아주 잘못된 말이라고
생각하는데, 또 이런 질문을 하실 분이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 모로 본능이 없어지는, 즉, 적어도 6개월 이후에도 눕혀지는
것을 싫어하는 아기들은 '손 탄 아기'가 맞냐고요.
글쎄요... ㅜㅜ 아마도 맞을 수도 있을 거 같긴 합니다.
근데, 그건
전적으로 엄마의 생각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어쩔 수 없어서 불평을 하면서 아기를 안아줄 수 밖에 없는 엄마들은 좀
다르겠지만,
언젠가 때가 오겠지 하며 즐거운 맘으로 아기들을 많이 안아주는 엄마들은 아기의 두뇌 속에 훌륭한 링크를 걸고 있는 중이긴
하니까요.
LIST
'아이사랑 > 아이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나라수유(Dream Feed, Focal Feed)에 대한 질문이 여전히 있어서 몇 가지 정리해 봅니다. (0) | 2012.07.06 |
---|---|
생후 3개월 전후한 아기들의 낮잠 늘리기 힘든 이유 (0) | 2012.07.06 |
우리 아기 밤새 잘자게 하는 20가지 방법 (0) | 2012.07.05 |
여름철 아기 잠투정 어떻게 극복하시나요? 아기 잠재우기 노하우 (0) | 2012.07.05 |
놓쳐서는 안 될 아기의 잠온다는 신호 (0) | 2012.07.05 |
중고로 사기 좋은 아기용품 VS 중고로 사면 안 좋은 아기용품 (0) | 2012.06.29 |
젖병거부 하는 아기 있으면 참고 하세용~! (0) | 2012.06.29 |
여성 임신초기증상과 순산 그리고 배란일계산기 (0) | 2012.06.20 |
우리아이기달라졌어요-Part11. 매사에 불안해하는 아이 (0) | 2012.06.09 |
우리아이기달라졌어요-Part9. 수줍음이 많은 아이 (0) | 201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