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바일&IT

(138)
태터데스크 스타일 수정 - CSS 처음에 태터데스크를 적용 하고 한참동안 몰랐던 부분인데 웹폰트를 사용하는 블로그나 본문에 다른 글을 사용하는 경우 폰트 크기가 달라 첫화면의 폰트들이 크게 보이거나 색깔이 맞지 않아서 애를 먹었었다. 결국 스킨을 수정 하듯 태터데스크의 스타일 시트를 하나하나 건들여 보고 나서야 글씨가 바뀐다는 사실을 알았는데 의외로 이부분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다. 오른쪽 상단의 태터데스크 에서 디자인편집을 선택 하면 태터데스크 스타일수정 - CSS 영역이 보인다. 그부분의 스타일 시트를 수정해야만 원하는 폰트를 첫화면에 나타낼수 있다. 태터데스크 스타일수정 - CSS #TD_content p{ padding:0; margin:0; } .TD_headline a{ font-size:1.2em; color:#333;..
니콘의 정수를 만날 수 있는 곳, 니콘 디지털 라이브 2012 니콘은 매년, 디지털 카메라 신제품을 선보이는 대규모 사용자 행사인 디지털 라이브를 진행해왔다. 니콘은 2012년 초, 35mm 플래그십 DSLR 카메라인 D4, 그리고 중상급 지향의 35mm DSLR 카메라 D800을 발표했다. 니콘은 이들 모델을 체험할 수 있는 사용자 행사, 니콘 디지털 라이브 2012를 개최했다. 니콘 디지털 라이브 2012는 3월 15일~16일에 걸쳐 상암 문화콘텐츠 진흥원에서 진행되었다. 2층에 마련된 행사장에는 니콘 D4 / D800 체험 공간과 상담소가 마련되었다. 니콘은 이번 디지털 라이브 행사에서 니콘 D4 / D800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쿨픽스 시리즈는 전시하지 않았다. 니콘 D4 / D800 상담소에서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품의 성능, 특징, 용도와 구입에 관한 ..
굿모닝전자, 댓글 달면 27형 모니터가 내꺼! 굿모닝전자, 댓글 달면 27형 모니터가 내꺼! 굿모닝전자에서 신제품 출시를 알리면서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자 자사 모니터 제품을 경품으로 내놓고 3월 동안 댓글 이벤트를 진행한다. 굿모닝 전자의 첫 모니터 제품인 'GM-2701'은 27형 S-IPS 패널을 채용한 광시야각 모니터로, 2560 x 1440의 고해상도를 지원한다. 무결점 정책이 적용된 제품과 강화유리 제품으로 나뉘며 동급 제품 중에서도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로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댓글 이벤트는 3월 16일부터 30일까지 2주 동안 다나와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진행한다. 1등과 2등에게는 'GM-2701' 제품이 각각 1대씩 제공되며, 아쉽게 탈락한 참여자 중 가장 센스있는 1명에게 '비츠바이 닥터드레 이어폰 투어'를 제공한다...
디자인 거장이 빚어낸 미러리스 카메라-펜탁스 K-01 펜탁스는 언제나 혁신을 이끌어왔다. 카메라 시장의 흐름이 필름에서 디지털로 바뀌어감에 따라, 펜탁스의 혁신도 계속 이어졌다. 중형 디지털 카메라, 펜탁스 645D와 콤팩트 미러리스 카메라, Q는 펜탁스의 이러한 혁신을 잘 나타내는 제품군이다. 이어, 펜탁스는 또 한 번의 혁신을 단행한다. 펜탁스 K 마운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미러리스 시스템을 선보인 것이다. 펜탁스 K 마운트 미러리스 시스템, 그 첫 모델은 펜탁스 K-01이다. 이로 인해 펜탁스는 업계 최초로 2개의 미러리스 규격을 지닌 제조사가 된 셈이다. 펜탁스 K-01은 수십 종에 이르는 K 마운트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폭넓은 렌즈 호환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함께, 펜탁스는 개성을 부여하기 위해 K-01의 디자인을 유명 디자이너, ..
애플, 사실 삼성 없으면 아이패드 못 만든다? 전세계적인 특허 소송으로 대립 구도에 있는 애플과 삼성이 사실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였던 것일까? '뉴 아이패드'의 LCD 패널을 삼성전자가 단독으로 공급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초유의 관심사인 애플 신제품의 주요 부품을 경쟁사인 삼성전자가 납품한다는 소식에 국내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삼성전자가 뉴 아이패드용 LCD 패널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이서플라이의 애널리스트 Vinita Jakhanwal의 발언을 인용보도 한 것으로, 그는 "세계 최대 패널 제조업체인 삼성전자가 현 시점에서는 9.7인치 터치스크린의 유일한 공급자"라고 밝혔다. ▲ 뉴 아이패드의 레티나 디스플레이 Vinita Jakhanwal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와 샤프도 LCD 패널을 공급..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비디오 게임기 시장은 일본의 닌텐도(Nintendo)사가 주도하고 있었다. 특히 1983년에 출시된 닌텐도 패밀리컴퓨터(Family Computer, 북미명 NES)와 1990년에 출시된 닌텐도 슈퍼 패미컴(Nintendo Super Famicom, 북미명 슈퍼 NES)은 비디오 게임기 시장에서 절대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며 닌텐도의 위상을 굳건히 유지해주었다. 당시 패미컴 및 슈퍼 패미컴과 같은 닌텐도 게임기의 가장 큰 특징은 저장 매체로 반도체 기반의 롬(ROM) 카트리지를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이 롬 카트리지는 게임기에 꽂기만 하면 간단히 실행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빨라서 막힘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롬 카트리지는 저장 용량이 부족하..
엑스박스(Xbox) - 마이크로소프트의 비디오 게임기 1995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신형 운영체제인 ‘윈도우 95’를 출시해 큰 인기를 얻으면서 PC(개인용컴퓨터) 시장의 주도권은 완전히 마이크로소프트의 손에 놓이게 되었다. 운영체제 시장을 지배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각종 하드웨어나 응용프로그램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크게 신경 쓴 것이 바로 멀티미디어, 그 중에서도 게임이었다. 특히 윈도우 이전의 운영체제인 도스(Dos)에서 게임을 개발하거나 즐기는 것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것을 참고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게임 개발자를 위한 공용 개발 인터페이스인 다이렉트X(DirectX)를 내놓았다. 다이렉트X의 등장 이후 윈도우 기반 PC 게임들의 품질이나 호환성,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
니텐도 DS- 듀얼 스크린과 터치 조작으로 즐기는 휴대용 게임기 일본을 대표하는 비디오 게임기 제조사라면 역시 닌텐도(Nintendo)를 들 수 있다. 닌텐도는 1983년에 패밀리컴퓨터(Family Computer, 북미명 NES)를 출시하면서 비디오 게임기 시장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이 지위는 1990년대 중반까지 계속 이어졌다. 그러나 1994년에 소니가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을 출시한 이후, 닌텐도는 비디오 게임기 시장에서 예전과 같은 압도적인 영향력은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다만, 비디오 게임기(거치형)가 아닌 휴대용 게임기 시장은 여전히 닌텐도의 독무대였다. 1989년의 ‘게임보이(Game Boy)’, 그리고 2001년의 ‘게임보이 어드밴스(Game Boy Advance)’로 이어지는 연이은 히트는 비디오 게임기 시장에서의 부진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