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품이 아니면 당장 큰 일 날 것처럼 선전하는 업체들의 공포 마케팅에 속아 많은사람들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한다. 하지만 생활용품을 모두 친환경 제품으로 마련할 필요는 없다. 습관을 바꾸고 약간의 수고스러움만 감수하면 비용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친환경 생활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조미료. 건강을 생각하는 요즘 소비자들은 '친환경' 마크가 붙은 조미료를 주로 구매한다.
평소 요리 후 주방에 남은 다시마, 버섯, 마늘 등을 말려 가루를 내면 큰 노력 없이 천연 조미료를 만들 수 있다. 외식문화 발달로 점점 자극적인 맛을 찾게 되면서 각종 첨가물이 든 조미료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천연 조미료는 적은 양으로도 같은 효과를 내고 국물 등 음식물 쓰레기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세제, 비누 등 주방ㆍ욕실용품 대체제도 있다. 식초가 좋은 예다. 알칼리 성분의 일반 세제는 오염과 찌든 때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알칼리 성분은 피부를 자극하는 등 부작용이 많아 값비싼 중성세제를 많이 찾는데, 기존 알칼리 세제에 산성인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리면 자연스럽게 중화효과가 발생한다. 물에 잘 녹아 세탁찌꺼기가 남지 않는 액체세제도 유행인데, 가루세제를 미지근한 물에 완전히 녹여 쓰면 액체세제와 비슷한 세탁효과가 있다.
각종 화학물질의 집합소인 새 집도 새집증후군 등으로 사람들의 지갑을 열게 만든다. 이때문에 최근 숯보다 5,000배 흡수력이 좋다고 알려진 규조토 마감재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친환경 마감재 대신 입주 후 3개월 내 오염수치가 가장 높은 점을 감안해 입주를 한 두달 미뤄 자연스레 오염물질을 방출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실내 온도를 높여서 오염원을 순간적으로 증가시킨 뒤 환기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유해물질 흡착효과가 높은 벤자민, 고무나무 등을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환경재단 관계자는 "비싼 친환경 제품 중에 일부는 효과가 과장된 경우도 더러 있다"며 "친환경 타이틀에 대한 맹신을 버리고 여러 방법을 추구하는 현명한 소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야채·우유·기저귀·물티슈… 유기농 이름 붙으면 값 2~3배 영양·안전성 등 측면서 아직 우월성 입증 안돼 막연한 기대와 공포심 이용… "친환경 상술 경계" 목소리
|
'일상이야기 >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건강 한번에! 자전거 출퇴근 족 (0) | 2012.05.07 |
---|---|
10년 젊어 보이는 맨손 화장법 (0) | 2012.05.07 |
'손이 어디에?'…정양, 야릇한 프로필 사진 '선정성' 논란 (0) | 2012.05.07 |
몸무게 확 뺀 녀석들…`S라인` 슈퍼카 몰려온다 (0) | 2012.05.07 |
규조토(Diatomite) (1) | 2012.05.05 |
대륙시리즈 -방류 사진 허걱 (0) | 2012.05.05 |
웃기는 대륙의 시리즈 (0) | 2012.05.05 |
게임 아이템, 현금 가치 따지니...헉! (0) | 2012.05.05 |
'월3000만원' 치킨집, 주인 손에 남은 돈은… (0) | 2012.05.04 |
농림수산식품부는 미국 BSE에 대한 7가지 궁금증을 Q&A 형식으로 정리해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0) | 201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