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름
올름은 유럽 등지에서 서식하는 도룡뇽의 한 종류로 물이 흐르는 석회암 동굴 등에서 산다. 약 1억 년 전부터 지구에서 존재하기 시작했으며 수명은 10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코펜하겐 기후위원회 의장직을 맡고 있는 팀 플래너리의 저서 '경이로운 생명'에 따르면 올름은 '작은 유리병에 담긴 채 섭씨 6도로 유지되는 냉장고에 12년 동안 살아있었다. 해부를 해보니 소화계가 완전히 사라져있다'고 나와 있다.
올름은 또한 10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 불가사리
불가사리라는 이름은 쉽게 죽일 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유래됐다.
불가사리는 다양한 해양 생물을 먹어치우는 엄청난 먹성과 생존력으로 '바다 생태계 파괴자'라고도 불린다.
불가사리 떼가 지나간 곳에는 조개류, 문어, 물고기, 산호초 등 가릴 것 없이 잔해만 남으며 심지어 먹이가 없을 경우에는 동족까지도 먹어치운다.
위험에 처하면 여러 개의 다리 중 한 개를 떼어내 도망을 치는데, 다리는 2주 안에 새로이 생성되며 떨어져 나간 다리에서도 새로운 몸이 생겨나 독립된 생명체가 되기도 한다.
▲ 곰벌레
1mm정도 크기의 '곰벌레'는 지구상에서 가장 끈질긴 생존력을 가진 생물 중 하나로 꼽힌다.
이는 지난 2008년 무인 우주선에 곰벌레를 태워 우주로 보낸 실험에서 증명됐다. 우주선 속의 곰벌레가 진공상태인 우주에서도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곰벌레는 필요할 경우 자신의 신진대사율을 0.01%이하로 떨어트릴 수 있다. 인간의 치사량을 훨씬 넘는 방사선에 노출되도 살아남을 수 있으며 또한 151도의 고온과 절대 0도의 극저온 그리고 7만5천 기압의 심해저나 진공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외에도 깊은 바다 해저에 서식하는 서관충과 추위에 강한 노란 쐐기나방 등이 지구상에서 생명력이 가장 강한 생물들로 분류되고 있다
'일상이야기 >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치료 명상음악 (0) | 2012.08.17 |
---|---|
“한국? 우리 무시하는 나라” 中유학생이 본 한국 (0) | 2012.08.16 |
직원 50명이 年 170억원 매출… 삼성도 굽신 (0) | 2012.08.12 |
우린 스타크래프트 세대였다 (0) | 2012.07.22 |
그냥...재미.....................웃겨서올린다... (0) | 2012.07.15 |
10대들 사이 확산되는 ‘노스페이스’ 유행 왜? (0) | 2012.05.18 |
‘쇼윈도 부부’ 집에선 각방쓰고 밖에선 행복한 척 (0) | 2012.05.18 |
최고의 접지력과 쿠셔닝을 가진 아디다스의 농구화! - 데릭 로즈(Derrick Rose)의 네번째 시그니처 슈즈, 아디제로 로즈 2.5 (adiZero rose 2.5) 의 농구화 리뷰- by NBA Mania (0) | 2012.05.16 |
화사한 봄 옷 위한 스마트 세탁법! (0) | 2012.05.07 |
노안 돕는 다초점안경 제대로 쓰는 법 (0) | 201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