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이야기/일상이야기

우주에서 조차 죽지않는 지구 생물은?

SMALL




생명력이 가장 질긴 생물을 떠올리면 흔히 바퀴벌레를 떠올리게 된다.


바퀴벌레는 중생대에 지구상에 나타나 거의 모든 생명체가 멸종했던 백악기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전 모습 그래도 살아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커다란 진화 없이 그 강인한 생명력을 유지해 온 것.


그러나 이 지구상에는 바퀴벌레만큼 강한 생명력을 가진 생물들이 존재한다. 그들은 어떻게 지금까지 살아왔던 것일까

▲ 올름


올름은 유럽 등지에서 서식하는 도룡뇽의 한 종류로 물이 흐르는 석회암 동굴 등에서 산다. 약 1억 년 전부터 지구에서 존재하기 시작했으며 수명은 100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코펜하겐 기후위원회 의장직을 맡고 있는 팀 플래너리의 저서 '경이로운 생명'에 따르면 올름은 '작은 유리병에 담긴 채 섭씨 6도로 유지되는 냉장고에 12년 동안 살아있었다. 해부를 해보니 소화계가 완전히 사라져있다'고 나와 있다.


올름은 또한 10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 불가사리


불가사리라는 이름은 쉽게 죽일 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유래됐다.


불가사리는 다양한 해양 생물을 먹어치우는 엄청난 먹성과 생존력으로 '바다 생태계 파괴자'라고도 불린다.


불가사리 떼가 지나간 곳에는 조개류, 문어, 물고기, 산호초 등 가릴 것 없이 잔해만 남으며 심지어 먹이가 없을 경우에는 동족까지도 먹어치운다.


위험에 처하면 여러 개의 다리 중 한 개를 떼어내 도망을 치는데, 다리는 2주 안에 새로이 생성되며 떨어져 나간 다리에서도 새로운 몸이 생겨나 독립된 생명체가 되기도 한다.


 

▲ 곰벌레


1mm정도 크기의 '곰벌레'는 지구상에서 가장 끈질긴 생존력을 가진 생물 중 하나로 꼽힌다.


이는 지난 2008년 무인 우주선에 곰벌레를 태워 우주로 보낸 실험에서 증명됐다. 우주선 속의 곰벌레가 진공상태인 우주에서도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곰벌레는 필요할 경우 자신의 신진대사율을 0.01%이하로 떨어트릴 수 있다. 인간의 치사량을 훨씬 넘는 방사선에 노출되도 살아남을 수 있으며 또한 151도의 고온과 절대 0도의 극저온 그리고 7만5천 기압의 심해저나 진공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외에도 깊은 바다 해저에 서식하는 서관충과 추위에 강한 노란 쐐기나방 등이 지구상에서 생명력이 가장 강한 생물들로 분류되고 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