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회로의발명
|
집적회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집적회로가 만들어지기까지
|
|
|
집적회로 발명하다
|
|
|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에 근무하던 잭 킬비는 최초의 집적회로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고, 1959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에서 이 회로에 대한 특허를 획득한다. 그는 이 공로로2000년 노벨물리학상을 받는다. |
페어차일드 반도체 기업에서 근무하던 로버트 노이스 역시 1961년 특허를 획득한다. 그 직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와 이 특허를 놓고 분쟁을 벌이기도 했다. |
전자 기기의 혁명이 일어나다
|
|
|
진공관에서 초고집적회로의 발달 과정.
|
- 트랜지스터
규소나 저마늄으로 만들어진 반도체를 세 겹으로 접합하여 만든 전자회로 구성요소이며, 전류나 전압 흐름을 조절하여 증폭, 스위치 역할을 함. 가볍고 소비전력이 적어 진공관을 대체하여 대부분 전자회로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이를 고밀도로 집적한 집적회로가 트랜지스터를 대체하게 됨.
-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를 만드는 토대가 되는 얇은 판.
- 사진석판기술
반도체 웨이퍼 위에 감광액을 얇게 바른 후, 원하는 마스크 패턴을 올려놓고 빛을 가해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회로를 그리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