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per이란?
많은 고수님들은 좀더 정확하고 확실한 분석 방법들을 알고 계시겠지만.
저는 가장 기본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서만 몇자 적어 보겠습니다.
일단 기업의 저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지표가 PER 이다..
물론 PER 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 되어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일단 PER 을 계산하기 전에 기업의 가치를 평가해야한다.
A.기업가치평가(valueation)
-> 가치평가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절대적 가치 평가 : 절대적 가치 평가는 기업의 과거의 재무제표 및 경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창출한다..
2) 상대적 가치 평가 :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 및 다른 기업의 가치 비교를
바탕으로 가치를 평가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PER 의 계산법과 개념을 잡아보자...
B.PER(주가 수이익률)
PER = 주가 /EPS(주당 순이익)
예로 현재 주가가 10000원이고 EPS가 1000원이 종목이 있다고하자.
EPS 는 주당 순이익이 1주(10000원) 가지고 순익이 나는 이익이 1000원이라고 보면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다...
쉽게 10년이면 투자금액(10000원)을 회수 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PER 계산이 적용에는 여러가 상황적 요소도 봐야한다.
1)EPS 변동성 및 흑자와 적자 변동성
-> 재무구조의 부실여부(부채비중이 과다하게 많은 기업 및 매출액의 변동성 큰 기업 )
2) 앞으로 기업전망(성장성 있는 기업:보통 성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PER 이 미래의
수익율이 미리 적용이 되어서 높은 수치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3)사업 확장시 신규산업의 불확실성
4)시장에서의 부정적 이미지
위 요소를 가진 기업이면 PER 의 계산적 수치는 별의미가 없게 될것이다.
또한 처음 valuation 에서 말씀드렸듯이PER 수치는 절대적으로는 과거 재무제표와
비교해서 저평가 수치인지 확인해야 하며 상대적으로는 동종업종 및 다른기업들과의
수치를 비교해서 좀더 정확한 판단을 해야 한다..
PER 는 수치가 크게는 나라의 PER 이 계산이 된다. 나라의 PER 의 수치가 낮으면
외국인들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 질것이다. 현시점 아래 그래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중국과 인도는 PER 수치가 선진국들의 PER 보다 높게 형성되어있는 것을
알 수있을 것이다. 해외 펀드 투자시 참고했으면 좋을 듯..
C.ROA (자기자본 수이익 )
-> 1년동안의 수익률
쉽게 비교 지표는 은행의 저축 금리를 생각하면 된다.
ROA 가 5%도 안되면 차라리 은행에 적금을 들어서 5%의 수익을 내는 것이 더 좋은 투자가
될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본적으로 ROA 는 은행의 금리보다 높은 기업을 선택하는것이 좋은
투자가 될것이다...
D.PBR (주가 순자산 배율)
-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지표로 기업의 순자산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는
지표이다.
이 수치로 부채비율 및 순자산의 가치를 볼 수 있는 지표라고 생각 하면된다.
수치가 적을 수록 순자산 비율이 많고 부채 비율이 적게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쉽게 망하지 않을 기업이라고 보면 된다.
잘못된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모두들 성투하세요...